경제˙재테크

재테크 하는 방법2

빛범 2021. 10. 3. 21:34
728x90
SMALL

재테크하는 방법 이어서 2편으로 쓰겠습니다.

2편에는
원자재를 다루겠습니다.

⚠️필자의 의견이 있으므로 과도한 믿음보다는
참고 해주십시오


1. 원자재



원자재란?
공업 생산의 원료가 되는 자재

원자재는 종류, 분야가 매우 다양합니다.
원유, 금속, 식료품 등으로 보겠습니다.

대표적인 원자재



에너지 자원 : 등유, 석유, 휘발유, 천연가스 등
금속 : 비금속, 비철금속, 철강 등
식자재 : 곡물류, 농산물, 육류 등


환경, 상황 : 원자재는 인플레이션 및 금리 인상인 시기에 부동산, 채권과 같이 우세하다.

: 세계경제가 불확실성을 가지면 시장의 흐름은 안전자산 선호현상이 나타난다.



에너지투자 방법


1. 에너지 관련 기업에 투자

1) 셰브론 - 생산과 판매를 하는 거대 석유 기업
2) 서부 텍사스유 (WTI)(크루드 오일) - 미국
3) 북해 브렌트유(Brent-Oil) - 미국
4) 중동 두바이유(Dubai-Oil)
5) 애트모스 에너지 (ATO) - 미국 최대 천연가스 회사. 주거, 산업, 공공기관에 운송, 유통, 저장 서비스 제공
6)콘솔리데이티드 에디슨 (ED) ㅡ 뉴욕인근에 전기, 가스 공급
이외에도 엑셀 에너지, 셈프라 에너지,
아메리칸 일렉트로닉 파워 , 엑셀론,
도미니언 에너지 , 서던,
듀크 에너지, 넥스트라 에너지,
킨더모건 등이 있다.

2와 3, 4는 국제 원유 가격의 기준이 되어 가장 유명하지만 2와 3은 선물거래(매수자가 정한 시기에 거래를 함)라서 얼마에 사고 얼마에 파는 지 모르기 때문에 위험성이 높다. 항상 정보와 뉴스를 얻고 거래를 잘할 자신이 있으면 추천.


2. 에너지 ETF

1) United States Brent Oil Fund (BNO)
2) United States Oil Fund (USO)
3) Invesco DB Oil Fund (DBO)
4)뱅가드 미국 유틸리티 ETF (VPU) - 미국 주요 60 개 기업에 투자. 전기,가스, 상하수도처럼 생활에 필수적인 준공공재를 제공하는 기업들이다.

1,2,3은 원유 가격지수에 투자하는 ETF이다.


원유나 가스등 에너지 관련 지수 그래프를 보면 다른 종목, 분야의 주식 그래프 보다 더 동적인 모습이다.
그러니까 몇 달이 지나면 매우 높은 주가더니, 몇 달 뒤에 가파르게 내려간다.
이에 대한 여러 견해를 보려 블로거들을 파헤쳤다. 내가 내린 결론은 최저가에 매수를 하고 자신이 정한 높은 가격에 파는 것이다. 팔 때까지 시간이 걸린다. 하지만 욕심을 내어 최고점보다 더 높은 가격에 팔려다가 낮아질 수 있으니 과한 욕심은 눈을 멀게 만든다.

ETF이다 보니 SPDR, 뱅가드, 아이셰어즈 같은
증권사들이 다양한 에너지 테마의 ETF를 만들어
상장시킨 것들이 많다.
그러므로 위의 ETF들 말고도 무수히 많으니
더 조사해야겠다.




2. 금속 투자 방법


1. 금속 관련 기업 투자
1) 뉴몬트 (NEM) - 세계최대의 금 생산기업.
금, 은, 구리 등 생산.
북미, 남미, 호주, 아프리카에 광산 보유.
금값이 늘어날수록 배당금 늘이는 경향이 있다.


2. 금속 관련 ETF
1) SPDR 금 ETF
2) SPDR 은 ETF

역시 ETF라 여러 증권사에서 상장시킨 것들이 많을 것이다. 철강 등등.

흘려본 것이지만 전기차 생산할 때 은의 수요가
많다고 했다. 그래서 금과 은 값이 내려갔을 때
매수해서 내가 목표한 가격에 다다르면
매도할려고 한다.

금과은은 지금(10월)
굉장히 비싸다.
아무래도 고가로 매수하기에는
좀 고민된다.




3. 식자재 투자 방법


1. 농업 관련 기업 투자

1)디어 (DE) - 글로벌 중장비, 농기계 제조 기업.
2)코르테바 (CTVA) - 세계 최대 농업 전문 기업.
작물 종자 보호를 위한 농업용 화학품 판매.
AI, 사물인터넷 등을 활용한 농업 서비스 기술 제공.
3) 아처-대니얼스-미들랜드 (ADM) - 글로벌 곡물 메이저 기업 중 하나. 식품 가공 ,유통,저장 기업.
주로 유지 종자, 옥수수, 밀과 같은 곡물을 조달하고 가공한 뒤 시장(음식료,산업용,동물사료등)에 판매

농업 , 농산물 관련 ETF는 미국의 증권사들이 상장한 것 말고 국내 증권사들이 '해외추종 주식ETF'를 상장시킨 것이 있을 것 같다. 때가 되면 자세히 조사 해봐야겠다.

인구는 많아지는 데 곡물생산량이 그걸 감당할 수 있는 정도는 아니다.
식물성 고기를 연구하는 기업도 있고
실험실에서 개발되는 식품은 계속해서
나오고 있다.
게다가 우린  빙하기 시대에 살게 될 거라는
학설도 있다.
빙하기가 시작하면 곡물, 식품 등 역시
재배하기 어려울 것이다.
이런 분야는 매우 장기적으로 봐야할 것 같다.





아무래도 미국 시장의 거래량과 규모가 크니
국내보다 관심이 많다.


+부가적으로 소비재 기업도 추가

크로락스 컴퍼니 (CLX) - 미국 소비재 기업. 표백제 크로락스, 매직랩 등의 유명한 브랜드 보유.
국내의 유한양행과 합작하여 유한락스를 통해 표백제 등 생활용품 판매.
ㅡ크게 성장할 가치가 있는 것 같진 않다.







(⚠️위의 주식종목들을 강력 추천하는 것은 아닙니다. 어떤 종목이 있는지 어떤 테마인지
참고해주세요⚠️)

원자재 ETF들은 증권사들에서
세분화가 잘 되어있으니
미래를 보면서 장기투자 잘 하시길 바랍니다.

주식을 할 때 여러가지 노하우와 방법이 있지만

나, 필자는 저가매수를 한 뒤 엉덩이 무겁게 기다리다가 목표한 고점에 위치하면 매도한다.

노후대비를 위해 몇 십년동안 매도 안 할 종목도 있긴 하다.

그건 나중에 쓰도록 하겠다.

728x90
LIST

'경제˙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후대비 방법  (0) 2021.11.04
재테크 하는 방법  (2) 2021.09.25
근검절약하는 방 법  (0) 2021.09.14
경제 유튜버 추천ㅡ주린이 꼭 보시길  (0) 2021.09.12
앱테크 추천 ㅡ 2편  (0) 2021.09.10